학년별

□ 교과목 개요

법학개론(Introduction to Law) | 하위전공 역량 : 창의적 실무수행능력

이 과목은 법학에의 입문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관, 세계관 및 생활감정과 연관 지우면서, 법적 정신 또는 법적 추론을 유도한다.

경찰학개론(Introduction f Police Science) | 하위전공 역량 : 논리적 사고능력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를 담당하고 있는 경찰의 역할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경찰의 개념과 기능, 경찰행정의 이념과 철학, 경찰조직의 민주적인 구조와 능률적인 운영관리 등 경찰학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심리학의 이해(Introduction to Psychology) | 하위전공 역량 : 의사소통능력

인간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 학습과 기억, 성격, 이상행동과 치료 등 심리학의 다양한 연구 영역을 소개한다. .

경찰무도(1)(Police Physical Training (1)) | 하위전공 역량 : 자기개발능력

경찰관의 직무 수행상의 특수성에 비추어 기본적으로 필요한 건강의 유지, 신체의 단련, 정신 및 인격의 도야를 목적으로 하여 개개인으로 하여금 훌륭한 직무수행에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사회학개론(Introduction to Sociology) | 하위전공 역량 : 지식탐구능력

현대사회의 생성과 함께 사회가 유지되고 변동되는 원리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이 제기되었다. 이 질문에 대한 여러 가지 이론들을 살펴봄으로써, 개인은 변화하는 사회를 더 잘 이해하고 또한 사회 적응도를 높일 수 있다. 그밖에도 조직이 운용되는 원리를 이해하여, 장차 국가기관이라는 조직에서 공무원으로서 기여할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지식을 학습할 수 있다.

경찰학총론(Introduction of Police Administration) | 하위전공 역량 : 논리적사고능력

경찰학에 관한 개론과목으로서 경찰학의 기초와 경찰조직 및 경찰 작용의 법적 토대와 경찰의 행정관리와 조직(운용)관리 등을 다룬다.

발달심리학(Developmental Psychology) | 하위전공 역량 : 창의적실무수행능력

아동의 발달 및 적응과 관련된 신체적, 감각적, 정서적, 사회적 변화를 이해하고 이러한 특성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학습한다.

경찰무도(2)(Police Physical Training (2)) | 하위전공 역량 : 자기개발능력

현대사회의 생성과 함께 사회가 유지되고 변동되는 원리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이 제기되었다. 이 질문에 대한 여러 가지 이론들을 살펴봄으로써, 개인은 변화하는 사회를 더 잘 이해하고 또한 사회 적응도를 높일 수 있다. 그밖에도 조직이 운용되는 원리를 이해하여, 장차 국가기관이라는 조직에서 공무원으로서 기여할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지식을 학습할 수 있다.

범죄학개론(Introduction to Criminology) | 하위전공 역량 : 논리적사고능력

범죄의 발생 원인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을 공부함으로써, 범죄현상에 대한 이해와 형사정책과 교정학 이해의 기초를 쌓는다.

형법(1)(Criminal Law(1)) | 하위전공 역량 : 논리적사고능력

형법의 의의와 형법이론, 죄형법정주의의 원리, 형법의 효력의 범위 등에 관하여 고찰한다.

헌법(Constitutional Law) | 하위전공 역량 : 자기개발능력

국가의 기본법인 헌법의 역사와 제정과정, 기본권의 종류와 효력, 국가의 기본질서를 학습하여 공법의 기본체계를 이해한다

경찰학총론연습(General Police Theory Exercise) | 하위전공 역량 : 지식탐구능력

전체 경찰학 개론의 이론적인 관점에서의 지식의 총체를 다루는 경찰학총론을 선수과목으로 한다. 경찰학총론이 경찰개념,경찰역사학,경찰법학,경찰행정학 등의 다양한 관점을 다루는 어려운 과목이며, 또한 경찰공채나 특채 시험에서 수험생들의 능력의 “경찰학총론연습”이라는 강좌를 통해, 전체적인 이론의 복습과 실전 문제풀이를 중심으로 수강생들의 지식과 능력을 강화한다.

학습심리학(Psychology of Learning) | 하위전공 역량 : 창의적실무수행능력

인간의 학습 과정에서의 다양한 전략과, 새로운 지식의 습득과정, 기억의 구조 및 과정 등과 관련된 이론과 연구 방법 및 적용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

성격심리학(Personality Psychology) | 하위전공 역량 : 지식탐구능력

여러 주요한 성격이론을 비롯하여, 성격을 연구 및 평가하는 방법 등에 대한 지식을 학습한다

범죄학연습(Seminar on Criminology) | 하위전공 역량 : 실무적응능력

범죄학이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실 사회에서 발생하는 각종 사례들을 분석하여 봄으로써 범죄학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도모한다.

경찰학각론(Practical Affairs of Police Administration) | 하위전공 역량 : 지식탐구능력

경찰학에 관한 각론과목으로서, 생활안전경찰, 교통경찰, 정보경찰, 경비경찰, 외사경찰, 수사경찰, 보안경찰 등 경찰실무를 다룬다.

상담의 이론과 실제(Theory of Counseling and Practice) | 하위전공 역량 : 실무적응능력

상담자의 자세와 상담의 다양한 이론들을 학습하고 상담의 과정과 기법을 배워서 상담심리학자로서의 기초를 닦는다.

형법(2)(Criminal Law(2)) | 하위전공 역량 : 지식탐구능력

형법의 적용원리를 개별적 구성요건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학습한다. 개인적 법익에 관한 범죄, 사회적 법익에 관한 범죄, 국가적 법익에 관한 범죄 등으로 대별하여 탐구한다.

행정법(Administrative Law) | 하위전공 역량 : 지식탐구능력

행정법 관계의 기본 원리 및 특수성을 인식시킴과 동시에 행정 조직, 작용, 구제에 관한 제 법규들의 내용과 의의를 이론적, 제도적인 차원에서 종합 검토한다.

범죄심리학(Criminal Psychology) | 하위전공 역량 : 창의적실무수행능력

범죄심리학은 범죄의 원인론을 범죄자의 개인적 속성에서 탐구하는 연구 갈래로서, 현대 경찰에서 범죄자의 프로파일링 분석 기법을 통해 실무적으로 적용되는 유용한 학문이다.

범죄예방론(Crime Prevention) | 하위전공 역량 : 논리적사고능력

범죄를 예방하여 안전한 생활 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경찰 활동에 대한 기본 지식을 터득하고 실무에 적응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을 학습한다.

형사소송법(1)(Criminal Procedure Law (1)) | 하위전공 역량 : 논리적사고능력

수사, 공소제기, 재판진행과정을 규정하는 형사소송법의 구체적인 절차와 관련제도 등을 학습한다.

경찰행정학(Police Administration) | 하위전공 역량 : 지식탐구능력

경찰 행정의 일반 법칙, 기능 분석, 합리적ㆍ효율적인 조직과 운영 방법, 현행 제도의 개선 방책에 대해 고찰한다.

이상심리학(Abnormal Psychology) | 하위전공 역량 : 의사소통능력

이상행동과 정신 병리의 주요 이론들을 학습한다. 각 정신 병리의 주요 증상, 원인, 임상적 특징 및 치료 방법을 학습한다.

법심리학(Forensic Psychology) | 하위전공 역량 : 창의적 실무수행능력

법집행절차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심리학적 문제에 대한 이론과 적용을 학습한다. 주로 목격자 증언, 수사면담, 거짓말 탐지, 허위자백, 배심원 의사결정 등의 주제를 다룬다.

경찰학각론연습(Police Degree Theory Exercise) | 하위전공 역량 : 지식탐구능력

경찰학 각론이 생활안전경찰,수사경찰,경비경찰,교통경찰,정보경찰,외사경찰,보안경찰 활동들에 관한, 경찰법학과 경찰행정학 및 현행개별법령과 실무이론 등을 다루는 어려운 과목이며, 또한 경찰공채나 특채 시험에서 수험생들의 능력의 차이가 가장 크게 드러나는 과목이하는 점을 고려하여, “경찰학각론연습”이라는 강좌를 통해, 각론의 모든 내용에 대한 전체적인 복습과 실전 문제풀이를 중심으로 수강생들의 지식과 능력을 강화한다.

계량분석(Quantitative Analysis) | 하위전공 역량 : 실무적응능력

행정 의사결정과 범죄 심리 통계에 사용될 수 있는 계량적 분석기법들을 익힌다. 선형계획모형, 수송모형 의사결정분석, 게임이론, 프로젝트 관리기법 등 주로 관리과학의 계량모형을 다룬다.

경찰행정학연습(Seminar on Police Administration) | 하위전공 역량 : 창의적실무수행능력

복잡한 현대사회에서 원활한 사회생활을 위해서는 누구나 법에 대한 상식이 필요하다. 이에 실제 생활에서 발생하는 사례를 중심으로, 특히 강종 미디어에서 언급되고 있는 사례를 중심으로 상식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어렵지 않게 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형사소송법(2)(Criminal Procedure Law (2)) | 하위전공 역량 : 창의적실무수행능력

인지적 능력이나 성격 특성과 같은 심리적 속성의 개인차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절차와 방법을 다룬다. 개인차에 근거하여 사람들을 비교, 평가, 진단, 선별하는 절차를 이해하고 대표적인 검사도구인 지능검사와 성격검사의 구성과 특징을 학습한다

사회심리학(Social psychology) | 하위전공 역량 : 의사소통능력

사회적 상황 속에서 개인과 집단의 행동에 대한 심리학적 이론을 학습한다. 주로, 대인지각, 설득, 태도와 태도변화, 집단 역동과 관련된 주제를 다룬다.

형사법연습(Seminar on criminal Law) | 하위전공 역량 : 지식탐구능력

형법, 형사소송법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바탕으로 판례를 분석 검토하여 봄으로써 실제 사건에서 이론이 적용되는 과정과 결과를 고찰한다. .

민간경비론(Theory of Private Security) | 하위전공 역량 : 자기개발능력

민간경비 분야의 역할과 기능 그리고 한국 민간경비산업이 나아갈 방향을 연구검토하고 총체적 범죄대응체제를 구축하는데 강의목표를 삼는다.

심리학조사연구방법론(Introduction to Research method in Psychology) | 하위전공 역량 : 지식탐구능력

심리학에서 사용되는 주요한 연구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실험 설계와 수행, 결과 분석 등을 통해 심리학 연구를 실시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 .

사회문제론(Social Problems) | 하위전공 역량 : 논리적사고능력

우리사회가 현재 안고 있는 대표적인 사회문제에 대해 이론적 접근을 시도하고, 다시 그 문제의 현황들과 해결의 대안들을 생각해 본다. .

청소년 이해론(Adolescent Theory) | 하위전공 역량 : 실무적응능력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의미와 역사적, 철학적, 심리적 논의 등을 살펴보고,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신체의 변화, 지적변화, 인지적 변화, 사회정서적 변화를 알아봄으로써 청소년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수사심리 세미나(Seminar in Investigative Psychology) | 하위전공 역량 : 창의적실무수행능력

거짓말 탐지, 프로파일링, 범죄형태 분석 등 범죄 수사 및 수사심리학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습한다.

종합설계(경찰행정학세미나)(Seminar in Police Administration) | 하위전공 역량 : 실무적응능력

경찰행정학과 관련된 여러 문제들 중에서 상황에 따라 적절한 주제를 선정하여 중점적으로 논하고, 그 결과를 참조하고 논문을 작성하여 졸업논문으로서 완성하여 본다

청소년 상담(Youth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 하위전공 역량 : 자기개발능력

청소년의 발달과정, 대인관계, 환경, 문제 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청소년 상담에 대하여 공부한다. 청소년 내담자와 그 관계, 상담에 대한 주제들을 알고 상담의 기본 역량을 학습한다.

교정학(Theory and Practice of Correction) | 하위전공 역량 : 자기개발능력

선고구금형을 받은 범죄자들을 수용하여 교화하는 국가활동과 관련된 이론적 근거와 실무를 학습한다.
위로 스크롤